본인 가입자의 연금산정용 가입내역 확인서 발급이 필요한 경우 사용하는 핸드폰에서도 간편하게 발급해 볼 수 있습니다.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내 곁에 국민연금” 모바일 앱을 설치한 다음 공동인증서/금융이증서나 민간 인증서(네이버인증/토스/카카오페이/뱅크샐러드/페이코/신한인증서/통신사패스/하나인증서/국민인증서 등)를 통해서 본인 인증 후 로그인해 주시면 됩니다.
연금산정용 가입내역서에서는 보험료 총 납부내역과 기간별로 상세한 내역을 조회 확인할 수 있으며 납부 내역은 국민연금공단 전산상에 반영되는 일을(日/납부하고 나서 최장 4일 경과 후 반영) 기준으로 한다고 합니다.
그러니깐 이미 연금을 납부했더라도 금액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납부한 연금보험료는 개별 납부 이력이 포함되지 않아서 상세한 내역 확인은 해당 화면에서 제공하는 상세내역 부분을 참고하시면 될 겁니다.
그리고 당월 납부기한 전이라도 미납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납부한 연금 금액에는 추납보험료 및 반납금 납부액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과소납된 월분은 납부하지 않은 보험료에 포함되며 징수권 소멸 시효 완성은 3년 정도의 기간으로 보시면 됩니다. 연금산정용 가입내역 확인서(개인)에서는 총 납부내역(납부한 보험료/납부하지 않은 보험료/납부할 수 없는 보험료), 상세내역(기간/기준소득월액/지역/납부예외/미고지 등)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발급 방식
모바일에서는 팩스 발급과 전자증명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팩스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주민등록번호 뒤 자리 숫자는 별표(*) 처리되며 증명서 수신하고자 하는 팩스 번호(지역번호 포함)를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발급 용도(개인 확인용/공공기관 제출용/금융기관 제출용/기타)와 유형(국민 등)을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전자증명서
마찬가지로 개인정보보호 차원에 주민등록번호 뒤 자리 숫자는 별표 처리되며 용도와 유형을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전자증명서는 문서파일이나 이메일로 원본을 보낼 수 없고 정부24 앱의 전자문서지갑을 통해서 타 기관으로 발송할 수 있습니다.
만약에 전자문서지갑이 없다면 발급 진행 시 안내되는 팝업 내용을 참고해서 발급하시면 될 겁니다. 발급된 전자증명서는 정부24 앱의 전자문서지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금산정용 가입내역서 모바일 발급 방법

▲ 휴대폰에서 내 곁에 국민연금 앱을 설치하고 실행합니다.
로그인 방식

▲ 로그인 메뉴를 터치하고 원하는 로그인 방식을 선택해 줍니다.
증명서 발급

▲ 로그인 후 화면 우측 상단에 전체메뉴(≡)를 터치하고 증명발급> 연금산정용 가입내역서 메뉴를 터치합니다.

▲ 총 납부내역과 화면 아래쪽에 조회 기간을 참고하고 화면 맨 하단에 전자증명서 또는 팩스 발급 중 선택해서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정부24 앱에서는 전자증명서 보내기 제출처 검색 후 보내거나 문서 열람 시 필요한 비밀번호 6자리 숫자 설정(또는 미설정) 후 PDF 문서 파일로 다운로드 저장할 수 있습니다.(문서 화면 우측 상단에 메뉴 아이콘 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