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사업자나 프리랜서의 경우 매년 5월이 되면 종합소득세(종소세) 신고를 해야 되는데요. 개인이 하는 경우도 있지만 복잡하고 어렵게 생각되는 경우에는 세무사에게 신고 대행을 맡기기도 합니다. 종소세 신고하게 되면 소득에 따라서 환급받는 경우도 있지만 세금을 납부해야 될 수 있습니다.
저 또한 세무 대행을 맡기고 나서 납부해야 될 세금이 있어라고요. 보통 종합소득세 납부는 5월 말까지가 납부 기한이며 해당 기한이 경과한 후에는 국세청 홈택스(또는 모바일 손택스) 내에 자진납부 메뉴를 이용해서 가산세를 계산하고 납부하시면 될 겁니다.
납부하고 나서는 취소할 수 없으며 납부 결제 수단에 따라서 일부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선택 가능한 납부 방법으로는 계좌이체와 신용카드, 간편결제가(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페이코/삼성페이/KB페이/삼성 앱카드/신한 앱카드/농협 앱카드/롯데 앱카드/현대 앱카드) 있습니다.
납부 대행 수수료
체크카드의 경우 0.5% 정도 납부 대행 수수료가 발생하며 신용카드의 경우에는 0.8% 정도 발생합니다. 참고로 신용카드 할부로 납부할 경우 별도로 수수료가 더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납부하게 되면 십분 내로 반영이 되며 모바일 국세청 손택스 앱을 통해서 신용카드나 계좌 이체로 납부할 경우 금융인증서 또는 공동인증서로 추가 인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납부해야 될 종합소득세를 나누어서 납부가 가능하지만 기한까지 납부하지 않은 금액에 대해서는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이외로 납부 조회에서 납부서 정보 메뉴를 선택해 보시면 국세 계좌 및 가상계좌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혹시나 과오납, 중복납부된 경우에는 세무서에 연락해서 환급받으시면 됩니다.
프리랜서 국세청 손택스 종합소득세 조회 및 납부 방법
휴대폰에서 국세청 홈택스(손택스) 모바일 앱을 실행합니다.

간편 인증 로그인
공동인증서나 아이디, 민간 인증서(삼성패스/카카오톡 인증서/우리인증서/네이버인증서/통신사패스/하나인증서/토스 인증서 등) 중 선택해서 로그인합니다.

납부할 세액 조회
전체 메뉴에서 “납부 고지 환급” 메뉴를 선택하고 오른편에서 세금 납부 항목을 누르고 납부할 세액 조회 납부 메뉴를 터치합니다.

납부할 총 건수와 금액을 확인하고 맨 하단에 납부하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모바일지로 앱 연결
금융결제원 지로앱 연결 팝업 창이 뜨면 예를 눌러줍니다. 만약 모바일 지로 앱을 설치하지 않았다면 안내에 따라 설치해(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가능) 주시면 됩니다.

납부방법 선택
홈택스에서 납부 요청한 내역을 조회 확인하고 납부 방법을 선택합니다. 계좌이체는 은행 선택, 계좌번호, 계좌 비밀번호 입력이 필요하며 카드는 카드 정보 입력, 간편결제는 이용할 앱카드를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납부할 금액과 납부 대행 수수료를 확인합니다.

그리고 납부를 정상적으로 완료합니다. 납부 방법에 따라서 금융인증서/공동인증서 인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프리랜서 지방소득세 납부 방법
종합소득세 납부를 완료하였다면 다음으로 지방소득세도 납부해야 되는데요. 보통 종합소득세의 10% 정도 납부해야 됩니다. 이번에는 전체 메뉴에서 세금신고 메뉴를 선택하고 종합소득세 신고> 종합소득세 신고내역 조회 메뉴를 터치합니다.

신고내역 조회
신고서 제출 목록에서 조회하기 버튼을 누르고 검색된 내역 건 화면 맨 하단을 보시면 “개인지방소득세 신고 이동” 버튼이 있습니다.

소득세 신고서 제출
납세자 주민등록번호 뒷자리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눌러줍니다. 이후 자동으로 입력된 내용을 확인하고 종합소득분 지방소득세 신고서 제출을 완료합니다.

납부방법 알아보기
납부 또는 환급 금액을 확인하고 환급받아야 한다면 본인 환불 계좌 정보를 입력하고 납부해야 된다면 해당 화면 상단에 납부 방법 안내 글자를 터치해 봅니다. 그럼 위택스/스마트위택스/가상계좌/모자일지로 앱을 이용해서 납부하는 방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지로 앱에서는 로그인하고 나서 부과내역 확인 메뉴에서 결제 방법을 선택 후 납부하시면 됩니다. 이외 모바일 스마트 위택스에서는 로그인하지 않고 홈 화면에 전자납부번호를 입력하고 부과 내역 확인 후 납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