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여권을 보유하고 있지 않아서 이참에 미리 발급해 두리고 마음먹고 거주하고 있는 부산 남구청에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참고로 여권 발급은 거주하는 지역 관계없이 시/군/구청 어디서나 발급 신청이 가능합니다.
가장 중요한 건 바로 여권에 사용할 사진인데요. 예전에 찍어둔 좀 된 증명 사진 가지고 가시면 거부당할 수 있으니 최근 6개월 이내에 촬영한 따끈한 사진(3.5cm x 4.5cm)을 가지고 가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본인 신분증만 챙겨 가시면 되고 미성년자(만 18세 미만)는 법정대리인 동의서와 신분증을 챙기시면 됩니다.
전저여권 발급 수수료
여권 발급하는데 드는 수수료 비용은 어른 기준 10년짜리 58면은 5만원이고 26면은 47000원, 미성년자(만 8세 이상~만 18세 미만) 5년 58면은 42000원, 26면 39000원이며 만 8세 미만은 58면 33000원, 26면은 3만원입니다. 그리고 1회용 1년 이내 단수 여권은 15000원입니다. 소득세법에 따라 현금영수증은 발급 안되며 카드 결제가 가능합니다.
발급할 때 납부하던 국제교류기여금이 인하되어서 기존 발급 비용보다 3천원 가량 저렴해졌다고 합니다.
발급 후 참고사항
- 수령하는 즉시 3번째 페이지 서명란에 본인 서명을 직접해 주세요.(신용카드/출입국 관련 서류 등의 서명과 가능한 일치하게 서명)
- 나라에 따라서 입국허가 요건(사증/잔여 유효기간 등)이 상이하니 해당 국가의 주한 공관에 미리 확인하세요.
- 전자여권 내에 개인정보면에는 민감한 전자침이 내장되어 있으니 취급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맨 뒷면에 본인 국내외 연락처를 꼭 기재해 줍니다.(변경 수정이 가능하도록 연필로 기재 권장)
- 국내에서는 여권을 신분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정부24나 KB스타뱅킹(국민은행) 앱에서 온라인 재발급 신청이 가능합니다.
전자여권 발급 신청 방법
구청에 방문하시면 여권 발급 민원실에 신청서가 구비되어 있습니다. 작성 견본을 참고해서 여권 종류/기간/면수, 신청인 성명/주민번호/연락처, 영문 이름(처음 신청하거나 기존 로마자 성명을 변경할 때)을 작성해 주시면 됩니다.

대기 번호표 뽑기
신청서 작성을 완료했다면 증명 사진과 신분증을 준비하고 여권 접수 번호표를 뽑아줍니다. 대기 인원이 많은 경우 미리 뽑아두시면 됩니다. 본인 순서가 되면 신청서, 신분증, 증명 사진을 창구에 제출하고 발급 수수료를 결제합니다.

접수증 수령
제출 서류에 이상이 없다면 여권신청접수증을 발급해 줍니다. 교부일을 확인하고 해당일에 여권을 수령하시면 됩니다. 신청서 작성할 때 우편 배송 서비스 선택이 가능한데요. 본인만 우편 수령할 수 있고 별도로 5500원의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여권 교부받기
수령날짜에 구청에 방문해서 직접 수령하면 아래 사진과 같은 디자인의 전자여권을 수령하게 됩니다.


첫 장을 넘겨보면 아주 한국적인 디자인 커버를 확인할 수 있고 바로 다음 장에는 여권 전자카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영어 이름과 한글 이름, 생년월일 등 표시된 정보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시고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연관글 더보기]
▶ 정부24 모바일 신분증 주민등록증 등록 및 발급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