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부산 동백전 모바일 교통카드 동백패스 사용 설정 방법

  • 기준

동백전은 부산 지역화폐 이름인데요. 부산은행에서 체크카드로 발급 신청한 경우 후불 교통카드 기능을 사용해 볼 수 있습니다.

동백패스를 통해서 환급 혜택도 받아볼 수 있는데요. 부산 대중 교통비 부담을 조금이나마 줄여볼 수 있는 혜택으로 동백전 후불 교통 체크카드나 교통형 선불카드를 이용하고 있다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번 달부터 동백전 모바일 교통카드 서비스가 시작되었습니다. 말 그대로 실물 카드 없이 핸드폰으로 대중교통 이용이 가능한데요. 안드로이드 기반으로 삼성월렛(삼성페이) 이용이 가능한 휴대폰에서만 가능합니다.(갤럭시 등)

아직 부산 동백전 후불 교통 체크카드를 발급하지 않았다면 동백전 앱을 통해서 발급 신청하시고 동백패스에 등록하시면 됩니다. 이후 삼성월렛에 카드 추가해서 교통카드로 추가하시면 모든 설정이 완료됩니다.

참고로 기존에 이즐 EZL(구 캐시비) 교통카드를 이용하고 있었다면 이즐의 결제수단을 동백전 체크카드로 변경해야 되며 결제수단 변경 시 오류가 발생한다면 이즐 교통카드를 삭제하고 다시 등록을 진행해봅니다. 기존에 티머니 교통카드를 이용했다면 해당 교통카드는 삭제하시고 이즐 카드를 등록하시면 됩니다.

이용 가능한 교통수단으로는 부산 시 대중교통으로 시내버스/마을버스, 지하철 등이 있습니다. 단 2000번 급행은 제외입니다.

이외 참고사항

  • 동백패스 또는 K패스 환급금 혜택 산정할 때 실물 교통카드 사용 금액과 모바일 교통카드 사용 금액은 합산하지 않고 사용 금액이 많은 쪽을 기준으로 환급금이 산정됩니다.
  • 그러니깐 실물 교통카드 사용 금액이 3만원이고 모바일 교통카드 금액이 5만 4천원이면 환급금 산정은 5만 4천원을 기준으로 합니다.
  • 모바일 교통카드 등록한 다음에는 실물 카드와 모바일 카드 모두 교통 사용이 가능합니다.

부산 동백전 모바일 교통카드 동백패스 사용 설정 방법

삼성월렛에 교통카드 추가하기 전에 동백전 체크카드는 동백전 앱 동백패스에 등록되어 있어야 하며 삼성월렛(삼성페이)에 결제카드로 추가해야 됩니다.

그런 다음에 삼성월렛 앱을 실행하고 전체 화면 아래쪽에 교통카드 추가를 선택합니다.

교통카드 추가하기

이즐(구 캐시비)을 선택합니다.

저장 위치 선택

앱 내에 저장을 선택합니다. 삼성월렛 앱에 교통카드 금액 정보가 저장되고 단말을 교체해도 앱 설치 후 교통카드를 이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결제 방식 선택

결제 방식 선택에서 후불을 선택합니다.

카드 선택

결제 카드 선택에서 BNK부산은행(BC) 카드를 선택합니다.(동백패스에 등록된 카드)

지문 인증 또는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소득공제 신청

등록이 완료되면 교통카드 화면에서 교통카드 번호와 결제수단을 확인할 수 있고 일일한도, 결제 내역도 조회 가능합니다.

우측 상단에 점 3개( ⋮ ) 모양을 눌러보시면 결제수단 변경(후불/선불/휴대폰 결제), 소득공제 신청, 교통카드 삭제 등의 메뉴 이용이 가능합니다.

이제 부산 버스나 지하철 등에서 휴대폰 NFC 기능을 켜주시면 간편한 요금 결제를 해볼 수 있을 겁니다.

실물 카드 없이 내 핸드폰으로도 동백전 모바일 교통카드를 편리하게 사용해 볼 수 있으니 적극 활용해 보세요.

[다른글 더보기]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