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달 청구되는 국민연금을 납부하지 않게 되면 미납하게 되는데요. 보통 자동이체 등록을 해주시면 편리하게 납부가 가능하지만 그렇지 못하다면 계좌 납부나 카드 납부, 가상계좌 납부도 가능합니다. 보험료 납부는 본인거나 타인 보험료 납부(전자납부번호/통합납부번호 필요) 중 선택해서 진행할 수 있으며 부담되지 않는다면 한 번에 전액 납부가(완납) 가능하며 어느 정도 부담이 된다면 일부 납부도 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일부 납부로 선택한 경우에는 남아 있는 잔여 금액에 대해서 마감되는 날이 경과하게 되면 연체금이 부과될 수 있으며 일부 납부 후에는 취소가 안되며 금액은 직접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미납된 금액은 나중에 다시 납부해야 되며 신용카드 일부 납부는 25번까지 이용할 수 있습니다.(이용 횟수 조회 가능)
카드 납부 시 수수료
카드로 납부할 경우 대행 관련해서 일부 수수료가 발생하게 됩니다. 체크카드는 0.5%이며 신용카드는 0.8%가 됩니다. 수수료는 납부 금액에 포함되어 결제 처리됩니다.
카드 할부 납부
5만 원 미만의 국민연금 보험료는 할부 납부가 안되니 일시불로 선택해서 진행해야 됩니다. 5만 원 이상이라면 카드 회사에 따라서 무이자 할부 납부가 가능하며 납부할 때 카드정보 입력 화면에서 “무이자 할부 안내” 버튼을 눌러보시면 기간별로 카드 회사에서 제공하는 무이자 할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외 카드 할부 결제 시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외 참고사항
- 카드로 납부 가능한 시간대는 오전 4시에서 23시 30분입니다.
- 분할납부의 경우 신청 회차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납부 가능합니다.
- 직불카드/선불 기프트(무기명) 카드/kb알파원/해외 발급/재난 지원금 카드로는 카드 납부를 할 수 없습니다.
- 카드 납부 수수료는 나중에 환급이 생겼을 때 대상 금액에서 제외됩니다.
- 납부가 완료되면 카드 변경이나 할부 기간 변경은 할 수 없습니다.
- 납부 완료된 연금보험료는 취소가 안됩니다.
- 자동이체로 납부하는 경우 이중 납부가 될 수 있습니다.
- 납부하고 나서 할부 기간 변경으로 취소할 수 없습니다.
카드정보 입력 항목
- 카드 선택: 국민카드/비씨카드/외환카드/삼성카드/신한카드/현대카드/롯데카드/농협카드/씨티카드/수협카드/하나카드/제주카드/광주카드, 우리카드는 BC카드 선택, KB증권 체크카드 및 전북카드는 국민카드 선택
- 할부 기간: 일시불/2개월~12개월
- 카드번호: 숫자 직접 입력
- 유효기간: 월/년
- 신분확인정보: 본인 생년월일 여섯자리/사업자등록번호 열 자리/일부 기명 법인카드는 기명인의 생년월일 필요
- 카드 비밀번호: 앞 2자리 숫자 입력
국민연금 카드납부 방법

▲ 구글 플레이 앱 스토어에서 “The 건강보험” 앱을 설치합니다. 공동인증서나 건강보험 인증서, 금융인증서, 민간인증서(농협인증서/하나인증서/신한/kb인증서/통신사패스/토스 인증서/삼성패스/페이코/네이버 인증서/카카오톡 인증서/뱅크샐러드/모바일 신분증)를 이용해서 로그인합니다.
신청 및 납부

▲ 메인 화면 왼쪽 하단에 “전체메뉴(≡)”를 터치하고 다음 화면에서 민원여기요> 신청/납부> 보험료 납부 메뉴를 터치합니다.
납부 여부 및 미납내역 조회 확인

▲ 본인 납부 또는 타인 납부를 선택하고 납부 여부와 미납 내역을 확인합니다.
납부할 연금 보험료 선택

▲ 연금보험을 선택하고 납부할 보험료를 선택(전체 완납 또는 일부납) 후 화면 하단에 신용카드 납부 버튼을 눌러줍니다.
카드 정보 입력

▲ 카드 정보를 입력하고 인증 확인을 해줍니다. 할부 납부 시 무이자 할부 안내 버튼을 눌러서 카드사별로 제공되는 무이자 정보를 확인합니다.
납부 대행 수수료 동의

▲ 납부대행 수수료 납부자 부담 안내 동의에 체크를 해주시고 신청하시면 됩니다.
납부결과 확인

▲ 카드 정보를 정상적으로 입력하고 인증이 되었다면 납부결과 확인에서 납부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영수증 확인하기 버튼을 눌러보시면 납부자 정보/금액/방법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관글 더보기]
▶ 국민연금 연금산정용 가입내역서 팩스 및 모바일 발급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