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갤럭시 휴대폰을 사용하고 있다면 제공되는 다양한 보안 관련 설정들을 해줄 수 있는데요. 그중에 Android 세이프 브라우징 설정도 가능합니다.
해당 기능을 사용하게 되면 지원하는 앱 내에서 탐색할 때 유해한 링크(URL) 주소와 웹페이지 등 보안 위협에 대해서 알림을 받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니깐 많이 알려진 피싱사이트로 이동하는 뉴스 앱의 링크를 탭하면 알림 받을 수 있다는 겁니다.
갤럭시 핸드폰 등 안드로이드 기기에서 지원하는 앱 내의 위협만 감지하고 실시간 위협 방지 기능은 확인을 위해서 구글에 앱이나 사이트 정보를 전송하는데 기기나 사용자는 식별하지 않습니다.
사용하는 핸드폰의 보안 설정에 관심 있다면 유용할 수 있는 기능이며 생각보다 아주 간단하게 사용 설정해 줄 수 있으니 참고해 보세요.
갤럭시 핸드폰 안드로이드 세이프 브라우징 보안 설정 방법
설정 앱을 실행하고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에 들어갑니다. 다음 화면 아래로 내려가 보시면 기타 보안 설정(보안폴더/보안 Wifi 등)이 있습니다. 아니면 설정 화면 우측 상단에 돋보기 모양을 눌러서 “세이프”라고 검색하시면 바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기타 보안 설정
기타 보안 설정 화면에서 Android 세이프 브라우징(위험한 웹사이트의 위협에 관해 알림을 받습니다)에 들어갑니다.

실시간 위협 방지 사용
하단에 실시간 위협 방지 사용 우측 버튼을 눌러서 켜주시면 됩니다.

사용 중지하게 되면 이전 버전의 세이프 브라우징으로 기기를 보호하게 되며 알림이 지연될 수 있고 일부 위협이 누락될 수 있다는 점 참고하세요. 그리고 구글에서는 관련 데이터를 사용해서 사용자의 탐색 활동을 추적하거나 확인하는 등의 기록은 할 수 없습니다.
[다른글 더보기]